전체 글3 K패스 신청했는데, 환급 안되는 이유 - 환급방법 / 대상자 / 지급일 등 총정리 목차 K패스 신청/환급방법 ▶ K패스 카드발급 & 환급방법 → K패스 카드발급만 하고 회원가입 안 하면 K패스환급 안됩니다! 1) K패스 카드 발급 - 가까운 은행이나 카드사 지점에서 오프라인으로 발급 가능하고, 온라인으로도 발급 가능 - K패스 체크카드, 신용카드 모두 발급 가능하며, 신용카드의 경우 추가혜택이 있으니 본인에게 유리한 걸로 발급 - 발급가능 신용카드(온라인) : BC바로 K-패스 카드 / K-패스 삼성카드 / 우리 K-패스 / IBK K-패스(신용) / KB 국민 K-패스카드 / 신한카드 K-패스 / 현대카드 Z work Edition2 / NH농협 K-패스카드 2) K패스 홈페이지나 어플에서 회원가입 - 홈페이지 or 앱에서 회원가입 버튼 클릭 - 발급받은 카드번호 15~16.. 2025. 8. 8. 청년도약계좌 2025년엔 무조건 해야 하는 이유 총정리 목차2025년 청년도약계좌, 뭐가 바뀌었을까?변화된 점만 콕콕 집어서, 청년에게 실제 도움이 되는 부분 위주로 정리해봤습니다내가 지금 가입가능한지 이곳에서 확인해보세요. 1. 청년도약계좌 핵심 요약가입 연령만 19세 ~ 만 34세 (군 복무자 최대 6년 연장)소득 조건연 7,500만 원 이하 (종합소득 6,300만 원 이하)월 납입 한도최대 70만 원정부지원금연 최대 240만 원 (소득 따라 차등 매칭)만기 수령 예상액최대 약 5,000만 원 이상 가능비과세 혜택이자소득 비과세 또는 분리과세중도 해지 시정부지원금 미지급 또는 환수중복 가입 제한청년희망적금 등과 중복 가입 불가 🔎 체크 포인트신청 전 기존 가입 상품 여부 꼭 확인5년 동안 유지해야 정부 지원 전액 수령 가능군 복무자는 병역 기간만큼 나.. 2025. 7. 31. 나만 못받고 있는 2025년 청년 지원금 목차놓치면 손해, 2025년 개정된 청년지원금 한눈에 보기 요즘 주변 친구들은 다 받았다고 하는데, 나는 왜 아무 것도 못 받고 있을까? 2025년, 정부가 청년을 위해 마련한 지원금 정책이 대폭 개편됐다.취업 준비 중이든, 첫 직장을 다니든, 자취를 시작했든조건만 맞으면 누구나 현금·주거·자산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시대가 열린 것이다.하지만 여전히 많은 청년들이 이런 제도를 제대로 모르거나, 신청 시기를 놓쳐서 혜택을 못 받고 있다.“다 받았대” vs “그런 게 있었어?”그 차이는 정보력에서 시작됩니다.2025년에 받을 수 있는 청년 지원금을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2025년 개정된 청년 지원금 핵심 요약제도명주요혜택2025년 개정내용최대 수혜금청년내일채움공제중소기업 재직 시 2년 후 1,200만 원.. 2025. 7. 18. 이전 1 다음